-
반응형
등급이 부여되는 공통과목이나 일반선택과 달리 진로선택 과목은 A, B, C의 성취도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대학별로 진로선택을 반영하는 방법이 모두 다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수도권 대학의 진로선택 반영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교과전형 - 진로선택 반영여부
올해 새롭게 진로 선택을 반영하는 대학이 21개로 증가하며 점차 진로 선택을 반영하는 대학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표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지역 진로선택 반영 대학 서울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광운대, 국민대, 덕성여대, 명지대, 삼육대, 상명대, 서강대,
서울교대, 서울과기대, 서울시립대, 서울여대, 성균관대, 성신여대, 세종대, 숙명여대, 숭실대, 연세대, 이화여대, 장신대, 중앙대, 총신대, 한국외대, 한성대, 한양대, 홍익대경인 가천대, 가톨릭대, 경기대, 경인교대, 단국대, 대진대, 수원가톨릭대, 아주대,
인천가톨릭대, 인하대, 평택대, 차의과학대, 한경국립대, 한양대(에리카),
협성대(학생부교과우수자)충청 건국대(글로컬), 고려대(세종), 공주대, 선문대, 순천향대, 충남대, 충북대,
한국교통대, 한남대, 한밭대, 호서대강원 강원대, 경동대, 연세대(미래), 한림대 경상 경상국립대, 동양대, 울산대, 한동대 전라 원광대, 전남대, 전북대, 조선대, 호남대 제주 제주대 ( * 밑줄 친 대학은 2023년은 미반영이었으나 2024년 반영으로 바뀐 학교임)
서울권 대학은 대부분 진로선택을 반영하고 있으나 동국대, 동덕여대는 반영하지 않고 있다는 특징을 보입니다.
2. 교과전형 - 진로선택 반영방법(서울권 대학 중심)
대학 진로 선택 반영 방법 고려대 성취비율 반영 / A=1등급, B,C는 성취도 누적 학생 비율에 따른 등급 부여 연세대 환산점수로 반영 / A= 20, B=15, C=10 서강대 성취비율 반영 / 환산점수 = 취득 성취비율/2 + 성취도 하단 성취비율 합계 성균관대 성적 및 교과세특을 종합적으로 정성평가함(학업수월성 10점 + 학업출실성 10점) 이화여대 환산점수로 반영 / A=10, B=8.6, C=5.0 중앙대 환산점수로 반영 / A=10, B=9.43, C=8.86 경희대 환산점수로 반영(상위 3개 과목 반영) / A=100, B=80, C=0 한국외대 환산등급으로 반영 / A(1등급), B(2등급), C(3등급) 서울시립대 환산점수로 반영(상위 3개 과목 반영) / A=100, B=97, C=90 동국대 미반영 동덕여대 미반영 고려대와 서강대는 각 성취도에 따른 성취비율까지 고려한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즉, A를 받은 학생의 인원수가 많은지 적은 지까지 반영하여 성적을 주겠다는 것입니다. 진로선택은 절대평가이기 때문에 학생들이 모두 잘하거나 시험 문제를 아주 쉽게 낼 경우 모든 학생이 A를 받을 수도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고려대는 A를 받으면 성취비율과 상관없이 1등급이기 때문에 A를 받는다면 인원수는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성균관대는 교과전형임에도 진로선택을 정성평가한다는 특징을 보입니다. 즉, 공통과목과 일반선택과목은 80% 반영(정량평가)하고, 진로선택과목은 정성평가로 20%를 반영하게 되며, 이 때 진로선택과목에 대해서는 학업수월성과 학업충실성을 평가하게 됩니다.
동국대와 동덕여대는 다른 학교들과 달리 진로선택을 미반영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교과전형에서 진로선택을 반영하는 대학과 반영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진로선택과목은 절대평가인만큼 노력하여 A를 받게 된다면 위와 같은 다양한 반영 방법에는 크게 신경 쓸 일이 없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반응형'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다문화가족 자녀 진로진학컨설팅(무료) 신청 방법 (0) 2023.04.12 2024 동국대학교 수시(교과/학종) 총정리 (0) 2023.04.12 2024 약대(약학과) 입시 정보 총정리(2)[서울대 약대] (0) 2023.04.11 2024 약대(약학과) 입시 정보 총정리(1) (0) 2023.04.11 2024 과학고, 외고, 광역단위 자사고 입학전형 시기 (0) 2023.04.07